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2750
2750번: 수 정렬하기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www.acmicpc.net
문제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코드 정답
n = int(input())
li = []
for i in range(n):
li.append(int(input()))
li.sort() # 오름차순
for i in range(len(li)):
print(li[i])
풀이
1~2행 : 숫자가 입력될 횟수를 입력받고 li 라는 리스트를 생성한다.
n = int(input())
li = []
4~5행 : 4 에 입력된 n 의 수 값만큼 반복문을 반복하여 값을 입력받아주고 배열에 순차적으로 대입한다.
for i in range(n):
li.append(int(input()))
7~9행 : 값들을 오름차순으로 바꿔준 후 li 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출력한다.
li.sort()
for i in range(len(li)):
print(li[i])
- 리스트.sort() 함수 = 리스트 자체를 오름차순 정렬시켜준다.
리스트.sort(reverse = True) = 리스트 자체를 내림차순 정렬시켜준다.
리스트.reverse() 함수 = 리스트의 순서를 반대로 바꿔준다.
sorted(리스트) 함수 = 원래 변수는 수정되지 않고 다른 변수에 저장이 가능하다.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시킨다. ex) la = sorted(li)
sorted(리스트, reverse = True) 함수 = 위와 같으며 내림차순 정렬이 된다. - len(li) 로 리스트의 길이를 구한다. 1부터 개수를 센다.
728x90
'BaekJoon > 단계별로 풀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정렬 - 25305번 (Python) (0) | 2023.02.06 |
---|---|
[백준] 정렬 - 2587번 (Python) (0) | 2023.02.06 |
[백준] 기본 수학2 - 2563번 (Python) (1) | 2023.01.07 |
[백준] 기본 수학2 - 2566번 (Python) (1) | 2023.01.06 |
[백준] 2차원 배열 - 2738번 (Python)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