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작 전, Virtual Box와 Cent Os 7 다운로드 방법은 2-1, 2-2를 참고하기.
< Virtual Box에 가상 Cent OS 7을 생성하는 방법 >
1. Virtual Box를 실행해준 후 화면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한다.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이름을 입력해준 후 종류에서는 리눅스를 선택해주고 Cent Os는 Red Hat 제휴로 개발된 컴퓨터 운영 체제이기 때문에 버전에서 Red Hat(64 or 32 - bit)를 선택해주고서 다음을 눌러준다.

2. 자신이 가상 머신에서 사용할 메모리를 지정해준다. 컴퓨터의 사양을 고려해서 만들어주면 되며 4GB(1GB = 1024MB) 정도라면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3.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한 후 만들기를 눌러준다. 이후 'VDI'를 선택하여 진행을 해주면 되는데 만일 다른 VM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 VHD나 VMDK를 선택하여 하드 디스크를 생성해 줘야 한다.


4. 동적 할당을 선택한 후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지정해준다.


5. 하드 디스크의 용량까지 지정을 해준다면 하나의 가상 머신이 생성이 끝난다.

6. 가상 머신을 부팅해보기 전에 대부분 마우스가 호환이 안되기 때문에(필자도 안됐다) 설정을 눌러준 후 시스템에 들어가 포인팅 장치에 있는 것을 USB 멀티터치 태블릿으로 바꿔준다. (구버전일 경우 USB 태블릿으로 나오는 것 같으니 참고하자)

7. 만들어진 가상 머신을 실행해주면 디스크 선택 화면이 나온다. 폴더 버튼을 눌러준 후 기존에 깔아 두었던 Cent Os 7의 ISO 파일을 선택해준다.



8. Install CentOs 7을 커서에 두고서 Enter를 눌러준다.

9. 설치할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을 하고서 계속 진행을 눌러준다.

10. 키보드를 눌러준 후 '+'를 눌러 영어(미국)를 추가를 해주자. 만약 추가를 해주지 않는다면 리눅스를 실행 후 영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니 반드시 해주자.


11. 소프트웨어 선택을 눌러준 후 개발 및 창조를 위한 워크스테이션을 선택해준다. 최초 설치를 누르고 그대로 진행을 하게 된다면 완전히 아무것도 세팅이 되어있지 않아 어려움이 많다는 것 같다. 서버나 시스템 운영을 목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설치 및 구성을 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해도 무방하다고 하니 참고하자.


12. 설치 대상을 눌러 파티션을 설정해주자. 필자는 자동 설정으로 진행을 하였다.


13.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을 눌러줘 이더넷을 활성화시켜주자.


14. 설치 시작을 눌러주면 사용자 설정 화면이 나온다. root 암호를 눌러줘 암호를 설정을 해주고 사용자 생성을 해주도록 하자.



15. Cent Os의 설치가 끝나면 Os 재부팅을 해준다.

16. 재부팅을 해준 후 라이선스 동의를 해주고 설정 완료를 눌러주도록 하자.



17. 부팅이 완료되면 해당 화면이 나오고 Cent Os에 접속을 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사용자 프로필을 눌러준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을 하도록 하자. 만약 Root 계정에 접속을 하고 싶다면 목록에 없습니까? 를 눌러주면 Root 계정에 접속할 수 있다.

18. 접속을 해준 후 최초 설정하는 페이지가 나오면 한국어를 선택해준다.

19. 키보드는 총 3개가 나오는데 미리보기로 전부 확인을 해본 결과 3개 다 똑같은 것으로 보이니 그냥 다음을 눌러주자.

20. 개인 정보(위치 정보 서비스)와 온라인 계정 연결은 불필요하다 생각이 되었기에 위치 정보 서비스는 꺼주고 온라인 계정 연결은 건너뛰었다.


21. 이렇게 하면 Cent Os7을 Virtual Box에 설치해주는 게 끝이 난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리눅스 시작하기 전 프로그램 설치 / Virtual Box (0) | 2021.08.22 |
---|---|
2-1. 리눅스 시작 전 프로그램 설지 / Cent OS (0) | 2021.08.22 |
1. 리눅스에 관한 설명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