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경사항을 생성한 후 커밋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을 만들어주도록 하겠습니다.
- VS Code에서 apeach.yaml 삭제
- .gitignore에 *.config 추가
- hello.txt 생성 (내용 자유)
해당 작업이 끝났다면 SourceTree로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으로 되어있을 것입니다.

커밋하지 않은 변경사항 즉, 아직 저장이 되지 않은 상황임을 뜻하며 맨 하단에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에 방금 수정, 삭제, 추가한 파일들이 존재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저 세가지 파일들을 스테이지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명령어를 작성하던 add와 같은 작업을 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는 방법은 간단히 파일들의 옆에 존재하는 + 모양 버튼을 눌러 하나씩 올리거나 상단바의 모두 스테이지에 올리기를 눌러 전부 올릴 수 있습니다.
스테이지에 올렸다면 이제 커밋을 할 차례입니다.왼쪽 상단에 커밋을 눌러주겠습니다.

눌러주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맨 하단의 비어있는 란에 커밋 메세지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Commit with SourceTree라는 메세지를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화면과 똑같이 되었다면 이제 오른쪽 하단의 커밋을 눌러주게 된다면 커밋 메세지와 함께 커밋이 완료가 됩니다.
2. Revert 사용
이번에는 소스트리를 이용하여 revert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Add Costco to Cheong으로 revert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커밋을 우클릭 해준 후 커밋 되돌리기를 눌러주겠습니다. 눌러주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해당 메세지는 선택된 커밋에 존재하는 변화들을 거꾸로 하는 커밋을 생성할 것인지를 물어보는 revert와 완전이 같은 기능을 할 것인지 물어보는 내용입니다. 예를 눌러주게 된다면 revert와 같이 선택한 Add Costco to Cheong을 revert한 새로운 커밋이 생성됩니다.
3. Reset 사용
이번에는 reset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소스트리를 시작하기 전인 Replace Game with Friend로 되돌아가 보겠습니다. 똑같이 우클릭을 한 후 이 커밋까지 현재 브랜치를 초기화를 눌러주도록 하겠습니다.



눌러주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 창이 생성이 됩니다. 사용 중인 모드를 눌러 확인을 해본다면 우리가 사용할 기능과 같은 Hard를 선택 후 확인을 눌러주고 또다시 생성되는 경고 메세지 창을 예를 눌러주도록 하겠습니다.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Branch 합치기 (0) | 2022.07.08 |
---|---|
[Git] Branch 만들기 (0) | 2022.07.08 |
[Git] 과거의 프로젝트로 돌아가기(Revert) (0) | 2022.06.30 |
[Git] 과거의 프로젝트로 돌아가기(Reset) (0) | 2022.06.29 |
[Git] Git에 파일 저장하기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