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야에몽
청야의 개발 일기
청야에몽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53)
    • os (4)
      • Linux (4)
    • Language (32)
      • Python (15)
      • C# (6)
      • Java (11)
    • BaekJoon (92)
      • 단계별로 풀어보기 (81)
      • 누적합 (11)
    • Test (6)
      • 코딩테스트 (6)
      • 42 SEOUL (0)
    • Project (9)
      • 충돌, 피하기 게임 (8)
      • Unreal engine5 CICD 구축 (1)
    • Git & GitHUB (9)
    • Cloud (0)
      • AWS (0)
      • Azure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논리 연산자
  • 연산자
  • c#
  • Revert
  • Python
  • 재귀 함수
  • git
  • 누적 합
  • 파이썬
  • 백준
  • 누적합
  • Linux
  • 리눅스
  • for문
  • pygame
  • 중첩for문
  • 자료형
  • java
  • Reset
  • Rebase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청야에몽

청야의 개발 일기

1. 파이썬 - 수 자료형
Test/코딩테스트

1. 파이썬 - 수 자료형

2022. 3. 11. 19:01
728x90

파의썬의 자료형의 종류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사전 등이 존재한다.

 

정수형

  • 정수형(Integer)은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으로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이 포함된다.

<예시>

양, 음의 정수와 0의 값이 제대로 할당되어 출력되는걸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값을 할당한 후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행위도 가능하다.

a에 10이라는 값을 할당한 후 13을 더해주자 23이, 11을 빼주자 12가 출력되는걸 볼 수 있다.

실수형

  • 실수형(Real Nunber)은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이다.
  •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소수점을 붙인 수를 대입하면 실수형 변수로 처리되며 소수부가 0이거나,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각하고 작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예시>

양, 음의 실수 모두 제대로 표기되는 모습과 소수부와 정수부가 0일때 .으로 생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수형 주의해야할 사항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IEEE754 표준에서는 실수형을 저장하기 위해 4바이트 or 8바이트의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하므로, 컴퓨터 시스템은 실수 정보를 표현하는 정확도에 한계를 가진다.

예시로 10진수의 체계에서는 0.2와 0.4를 더한 값이 0.6으로 정확하게 떨어지지만 2진수는 0.6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최대한 가깝게 표현하지만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0.2와 0.4를 더했지만 비슷하지만 다른 값이 나오며 틀렸다고 출력이 된다.

그러면 이런 현상을 고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럴 때는 round() 함수를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75.486을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려면 round(675.486, 2)라고 작성을 하면 되고 결과값으론 675.49가 된다.

 

지수 표현 방식

  • 파이썬에서는 e나 E를 이용한 지수 표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e나 E 다음에 오는 수는 10의 지수부를 의미한다. / 유효숫자e지수 = 유효숫자 x 10지수
    ex> 1e9 = 10의 9제곱(1,000,000,000)이 된다.
  • 임의의 큰 수를 표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노드에 대하여 최단 거리를 무한(INF)로 설정하곤 하는데 이때 가능한 최댓값이 10억 미만이라면 무한(INF)의 값으로 1e9를 이용할 수 있다.

10억을 1e9로 간추려 사용할 수 있고 양, 음의 실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지수 표현 방식을 사용하면 출력 값이 실수로 표현이 되는데 문제에서 정수로 표현하라고 할 시에는

int(정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수 데이터를 정수 데이터로 바꿔주어 오차를 예방할 수 있다.

 

수 자료형의 연산

수 자료형에 대하여 사칙연산과 나머지 연산자가 많이 사용된다.

  • 파이썬에서 나누기 연산자(/)는 나눠진 결과를 실수형으로 반환한다.
  • 다양한 로직을 설계할 때는 나머지 연산자(%)를 많이 이용한다.
    예시 : a가 홀수인지 체크해야 하는 경우
  • 파이썬에서 몫을 얻기 위해서는 몫 연산자(//)를 사용한다.
  • 이외에도 거듭 제곱 연산자(**)를 비롯한 다양한 연산자들이 존재한다.

나누기, 나머지, 몫, 거듭 제곱, 제곱근 순으로 출력이 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 해당 글은 유튜버 '동빈나'님의 영상을 토대로 공부하여 작성함을 알립니다. >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Test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파이썬 - 조건문  (0) 2022.03.16
5. 파이썬 - 기본 입출력  (0) 2022.03.15
4. 파이썬 - 사전, 집합 자료형  (0) 2022.03.14
3. 파이썬 - 문자열, 튜플 자료형  (0) 2022.03.13
2.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0) 2022.03.12
    'Test/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5. 파이썬 - 기본 입출력
    • 4. 파이썬 - 사전, 집합 자료형
    • 3. 파이썬 - 문자열, 튜플 자료형
    • 2.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청야에몽
    청야에몽
    개인적으로 학습을 하여 까먹지 않기 위해 올리는 블로그입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