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본 입출력
- 모든 프로그램은 적절한 (약속된) 입출력 양식을 가지고 있다.
- 프로그램 동작의 첫 번째 단계는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생성하는 것이다.
- ex) 학생의 성적 데이터가 주어지고 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입력 예시 : 5
65 90 75 34 99
출력 예시 : 99 90 75 65 34
- ex) 학생의 성적 데이터가 주어지고 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자주 사용되는 표준 입력 방법
- input() 함수는 한 줄의 문자열을 입력 받는 함수이다.
- map() 함수는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한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한다.
- ex_1)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 list(map(int, input().split()))
- ex_2)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의 개수가 많지 않다면, 단순히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 a, b, c = map(int, input().split())
※ split() 함수는 괄호에 아무것도 넣어주지 않는다면 공백(띄워쓰기, 엔터 등) 기준으로 각각의 문자열을 나누어 주는 역할을 한다.

실습

1 - 입력을 받을 문자열을 단순히 정수로 바꾸고자 한다면 int()함수로 감싸주면 된다.
2 - 들어온 데이터를 그냥 출력한다.
3 - split() 함수를 이용해 공백 기준으로 데이터를 나눈다.
4 - map() 함수를 이용해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꿔준 후 list()를 이용해 리스트로 바꾸어준다.

만일 입력받을 데이터의 개수가 정확하게 정해져 있다면 이런 식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3개(a, b, c)의 변수만 선언을 한 채로 4개의 데이터를 입력한다면 패킹 후 언패킹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오류가 난다.
빠르게 입력 받기
-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최대한 빠르게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파이썬의 경우 sys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는 sys.stdin.readline() 메서드를 이용한다.
- 단, 입력 후 엔터(Enter)가 줄 바꿈 기호로 입력되므로 retrip() 메서드를 함께 사용한다.'
import sys
# 문자열 입력 받기
data = sys.stdin.readline().rstrip()
print(data)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모듈을 불러온 후, readline() 이후에 rstrip()까지 불러오는걸 한번에 한 묶음으로 사용해서 입력받을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표준 출력 방법
- 파이썬에서 기본 출력은 print() 함수를 이용한다.
- 각 변수를 콤마(,)를 이용하여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 print()는 기본적으로 출력 이후에 줄 바꿈을 수행한다.
- 줄 바꿈을 원치 않는 경우 'end' 속성을 이용할 수 있다.

4~6 - print() 함수로 호출한 이후 자동으로 줄바꿈이 이루어지는데 end 속성을 이용하여 7을 출력한 후에도 자동으로 줄바꿈이 이루어지지 않고 한 칸 띄워진 옆에 8이 출력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0 - 기본적으로 Python은 문자열과 정수형에 대해서 직접적인 더하기 연산을 수행할 수 없어 정수형 데이터를 문자열로 바꿔준 다음 문자열을 더한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f-string 예제
- 파이선 3.6부터 사용 가능하며, 문자열 앞에 접두사 'f' 를 붙여 사용한다.
- 중괄호 안에 변수명을 기입하여 간단히 문자열과 정수를 함께 넣을 수 있다.

728x90
'Test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파이썬 - 조건문 (0) | 2022.03.16 |
---|---|
4. 파이썬 - 사전, 집합 자료형 (0) | 2022.03.14 |
3. 파이썬 - 문자열, 튜플 자료형 (0) | 2022.03.13 |
2. 파이썬 - 리스트 자료형 (0) | 2022.03.12 |
1. 파이썬 - 수 자료형 (0) | 2022.03.11 |